부동산 경제신문에 자주 나오는 LTV 용어 알아보기



부동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거나 내집 마련을 꿈꾸고 있는 분들이라면 아마 이 용어들을 심심치 않게 접해보셨을 것입니다. 경제신문에도 자주 나오고, 뉴스에도 자주 등장하는 말인데, 정확히 한번 정리 해 봤습니다.

 

주택담보대출비율 (LTV)

 

LTV 란, Loan to Value Ratio 의 약자로써, 우리말로 뜻을 보자면 ,  주택담보대출 비율이라는 의미입니다.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,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이라고 하는 어려운 말로 되어 있는데, 한마디로 정의를 내리자면,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한 비율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.




 

만약, 이 비율이 60% 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 주택이 5억원이라면 5억*0.6 을 해서, 3억원까지 빌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 마찬가지로 LTV 가 50% 이면, 2억 5천(5억 * 0.5) 까지 빌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




 

이 비율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, 많은 돈을 빌리고 싶어도 자신의 집의 가치에 따라서만 담보를 낼 수가 있는 것이지요. 과도한 대출을 막기 위해서 시행되는 제도입니다. 만약 이렇게 정해져 있지 않다면, 갚을 수도 없는 돈을 은행에 빌리게 되기 때문에, 문제가 되겠지요.

 

LTV 70% 까지 완화 검토

 

최근 뉴스를 보면, 정부가 이 비율을 내년부터 70%까지 완화한다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합니다. 이렇게 되면, 총 빌릴 수 있는 액수가 5억 * 0.7 해서 3억 5천 까지 대출을 낼 수가 있습니다. 이전 보다 많이 빌릴 수가 있다는 소리이지요.




 

이런 정책은 부동산 경기가 회복을 목적으로 검토중인 계획입니다. 아직 시행이 아니고 검토중인 계획입니다. 현재 LTV 는 서울이 50%, 지방은 60%로 고정되어 있습니다. 이것을 모든 지역에 관계없이 70%로 한다는 것이지요.

 

이렇게 할 경우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봐도 더욱 더 많은 돈을 은행에서 빌릴 수 있기 때문에, 당장은 집을 사려는 사람에게는 좀 더 많은 액수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, 또 한편으로는 많은 돈을 빌릴 경우 가계에 부담이 될 수가 있기 때문에 한번 잘 고민을 해봐야 할 것입니다.


 

자신이 갚을 수 있을 정도로만 대출을 받아야 하는데, 이렇게 규제가 완화가 되면 아무래도 더욱 더 욕심이 나기 때문에, 많은 돈을 빌릴 수도 있기 때문에, 무리를 할 수가 있습니다. 감당하기 힘들만큼 원금이자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, 자신의 경제 상황에 맞게 정말 많은 고민을 해 봐야 될 것 입니다.

,